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초보가 반드시 알아야 할 투자 용어 10가지

by jwg3155 2025. 4. 12.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 해도, 어렵고 낯선 용어들 때문에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PER이 뭐지?”, “호가창은 어떻게 보지?”, “배당수익률은 왜 중요한 걸까?” 이런 기본적인 개념조차 막막하게 느껴진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금부터 소개할 10가지 주식 필수 용어만 알아도, 뉴스나 증권 앱에서 나오는 정보를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해는 기본, 실전 적용까지 가능한 초보 맞춤 해설**로 안내드립니다.

1. 주식 (Stock)

기업이 자본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한 '지분'의 일부입니다. 주식을 보유하면 그 기업의 ‘부분적 소유자’가 되는 것입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1주라도 보유하면, 삼성전자의 주주가 되는 셈입니다.

2. 시가총액 (Market Capitalization)

기업의 전체 주식 가치를 의미합니다. 계산식은 현재 주가 × 총 발행 주식 수입니다. 이 수치로 기업의 ‘덩치’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총이 크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대형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3.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주가가 해당 기업의 이익 대비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주가 ÷ 주당순이익(EPS)입니다. 보통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4.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 ÷ 주당순자산으로 계산되며, 기업의 자산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냅니다. PBR이 1보다 낮으면 시장에서 저평가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5. 호가창 (Order Book)

현재 매수자와 매도자가 각각 어떤 가격에 얼마나 주문을 넣었는지를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주식 앱에서 주식을 클릭했을 때 보이는 빨간색(매도)과 파란색(매수) 가격 목록이 바로 호가창입니다.

6. 배당금 & 배당수익률

배당금은 기업이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나누어주는 것입니다. 배당수익률 = 연간 배당금 ÷ 현재 주가 × 100%로 계산되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중요한 지표입니다.

7. 주당순이익 (EPS, Earnings Per Share)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수익성이 높다는 뜻이며,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8. 분산 투자 (Diversification)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종목이나 자산에 나누어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예: 삼성전자 + 리츠(REITs) + ETF 등에 자산을 분배하면 특정 종목 하락의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9. 손절매 (Stop Loss)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감정적으로 보유를 끌기보다는, 리스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원칙입니다.

10. ETF (Exchange Traded Fund)

여러 주식이나 자산을 하나의 상품처럼 묶어서 거래할 수 있게 만든 펀드입니다. ETF를 통해 초보자도 분산 투자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매매도 가능합니다.

+ 용어를 안다고 끝이 아니다

주식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첫걸음일 뿐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 용어들이 실전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악하고**, 투자에 적용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PER이 낮다고 무조건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업의 산업 전망, 실적 흐름까지 함께 분석해야 진짜 투자입니다.

결론

주식 투자는 더 이상 소수의 영역이 아닙니다. 누구나 앱 하나로 투자할 수 있는 시대인 만큼, 기본적인 용어와 개념은 꼭 알아두어야 합니다.

이번에 소개한 10가지 용어를 먼저 숙지하고, 뉴스나 기업 리포트를 읽어보면서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경험해보세요. 탄탄한 기본기가 결국 투자 성과를 만듭니다.